GIVENCHY

이상하게 우리나라에서는 마케팅 실패라도 했는지

진작에 철수해서 면세에서만 볼 수 있는 지방시.

예전에 면세 찬스가 생길 때마다 하악거리면서
지방시 프리즘 라인을 모아대던 때도 있었지만
내가 대개 그러하듯이 그 또한 지나가서
또 대거 처분해버리고 잊고 살았더랬지.

그런데 어제 밤엔가, 웹서핑하다가 우연히
지방시 프리즘 라인을 다시 보게 되었는데
몇년 지난 지금 다시 입질이 오는 거다.

역시 우리네 인생 돌고 도는 것.



근데 면세점을 갈 여유가 안 되는 상황에서
급 꽂히니까 검색 밖에는 별 수가 없는데
정말 놀라울 만치... 제품 리뷰가 없다 -_-

아니, 우리나라 온라인 이 광활한 바닥에
그토록이나 깨알같은 뷰티 블로거들이 있건만
그들은 당최 지방시 안 쓰는 건가? 응???
이렇게 되면 왠지 내가 몇 개 구입해서
선구자적 발색 리뷰라도 써야 할 것 같잖아.
(... 됐거든...)

어쨌거나 저쨌거나 난 이렇게 쌩뚱맞게스리
지방시앓이를 하고 있는데 리뷰 없어서
괜스레 속 터지고 더 안달나고 뭐 그렇다지.



아무래도 면세에만 있어서 엑세스도 적고
사용자층도 상대적으로 좁다 보니까
제품 선호도도 그렇게 명확한 편은 아니다.
어째 코스메틱계에서 마이너 브랜드가 된 듯;

그래도 가장 유명한 건 역시 르 프리즘 라인.
(예전의 프리즘 어게인 라인이 리뉴얼된 것.) 

블러셔와 페이스 파우더 등이 포함되어 있다.
그 외에는 루즈 앙떼르디 립스틱 라인이 있고.

르 프리즘 컴팩트 라인에서도 크게 2가지,
blush 제품과  visage 제품이 있다.

둘 다 기본적으로 블러셔라고 봐도 무방하고
케이스도 사실 똑같이 생겨서 구분이 어렵지만,
내 기억이 맞다면 블러쉬 라인이 발색이 잘 되고
비자쥬 라인은 상대적으로 투명하고 가볍다.
물론 개별 색상에 따라 차이는 다소 있지만
대체적으로 피니쉬 파우더로 쓸 법한 제품.
(visage : 얼굴이라는 뜻.)



Le Prisme
Blush


블러쉬나 비자쥬나 케이스는 다 이렇게 생겼다.
다만 블러쉬가 비자쥬보다 사이즈가 약간 작아.

두께가 제법 도톰한 게 조금 아쉽긴 해도
매끈하고 깔끔하게 딱 떨어지는 정사각형이어서
수납 지상주의자인 내 눈에는 참 이뻐뵌다.

그리고 뚜껑에 그려진 저 로고가 지방시의 상징.




Blush No.21
Inspiration Rose

블러쉬 21호
인스퍼레이션 로즈

정말 너무너무 갖고 싶은 연핑크 블러셔. 

맑은 핑크지만 너무 핑크는 아니고 좀 투명해.
페이스 파우더로 쓰기에는 약간 발색이 되고.
블러셔 라인에서 딱 하나만 고르라고 한다면
(사실 아무도 나에게 물어보진 않겠지만.)
난 역시 이 21호 핑크색을 고르겠습니다.




Blush No.22
Vintage Pink

블러쉬 22호
빈티지 핑크

보다 톤다운된 빈티지 핑크.
말 그대로 더 빈티지한 느낌의 핑크다.
21호에 비해서 성숙한 연출에 유용할 듯.





Blush No.23
Aficionado Peach

블러쉬 23호
아피시오나도 피치

살구 코럴 좋아하는 사람들이 눈독 들일 색.
실물로 봤을 때는 사진보다 좀 더 진해보였다.




Blush No.25
In Vogue Orange

블러쉬 25호
인 보그 오렌지

이 제품 역시 실물로 봤을 때 더 진한 듯?
난 오렌지 안 받는 여자라서 무심하게 패스.




Blush No.26
Fashionista Brown

블러쉬 26호
패셔니스타 브라운

가벼운 쉐이딩, 혹은 레이어드용으로 좋은
라이트 음영 블러셔, 패셔니스타 브라운.
메이크업 상급자들에게 더 유용할 것 같다.



Le Prisme

Visage Mat

그리고 피시니 파우더로 나온 비자쥬 마뜨 라인.


Visage No.81
Pastel Tulle

비자쥬 81호
파스텔 튤

맑고 화사한 파스텔톤이어서 얼굴 전체에
하이라이트 주는 용도로 좋을 듯한 색상.
겔랑 구슬 파우더 펄리 화이트 생각난다.




Visage No.82
Rose Cashmere

비자쥬 82호
로즈 캐시미어

실물로 보면 정말 곱고 아름다운 로즈 캐시미어.
살짝 화사한 살구 핑크가 섞여 있지만
그렇다고 붉은 기는 전혀 없어서 딱이다.




Visage No.84
Beige Mousseline

비자쥬 84호
베쥬 무슬린

블러쉬 라인의 패셔니스타 브라운이
다소 진하고 부담스럽게 느껴진다면
더 투명한 이 비자쥬 라인의 84호가 적격.
이건 페이스 전체에 쓰기에는 무리고
얼굴 외곽 입체감 줄 때 잘 쓰일 것 같다.




Visage No.87
Pink Velvet

비자쥬 87호
핑크 벨벳

그리고 가장 인기 많은 87호 핑크 벨벳.
블러셔 같지만 발색이 상당히 투명한지라
타 브러셔 위에 쓸어주는 피니시 용도,
혹은 얼굴 전체 피니시로 써도 무방하다.
그래도 얼굴에 홍조가 강한 나는 개인적으로
82호 로즈 캐시미어 색상이 조금 더 좋지만.



Doctor White


사이즈는 똑같은데 이렇게 패키지가 하얀 아이들은
미백 라인인 Doctor White 컬렉션이라네.
 




Dazzling White Prismissime
# Cool Collection

이렇게 9칸이 구분되어서 나오는 건
르 프리즘 라인이 아니라 프리즈미심.
어차피 칸별로 구분해서 사용하기보다는
전체를 다 쓸어서 사용하는 건 똑같지만.




Illuminating Prisme
# Perfect Pastels

르 프리즘 비자쥬 81호 파스텔 튈 색상이랑
얼추 비슷해뵈긴 하지만 어쨌든 스페셜 버전.
화사화사 또 화사한 퍼펙트 파스텔.




Illuminating Prisme
# Simply Skin

이건 같은 라인에서도 약간 더 차분한
심플리 스킨 색상.

 



이런 지방시 특유의 4칸짜리 바둑판 디자인은
여타 브랜드에서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YVES SAINT LAURENT]

Blush Variation

지방시와 마찬가지로 몇년 전 국내 철수해서
이제는 면세점에서만 볼 수 있는 입생로랑.
역시 이렇게 4칸짜리 블러셔가 나온다.
내부 디자인은 비슷해보이지만 발색은 꽤 다르다.
지방시는 비자쥬는 물론이고 블러쉬도 더 투명한 편.
그리고 개인적으로 난 금장 케이스의 입생보다는
깔끔한, 그러나 날카롭지 않은 지방시가 좋다.




[GUERLAIN]
Blush 4 Eclats


그리고 이건 국내에도 출시가 되는 브랜드이지만
겔랑에서도 유사한 형태의 블러셔가 나온다.
겔랑은 색상들이 전체적으로 성숙하고 우아한 편.
내용물은 나름 괜찮은데 역시 케이스가 별로;
입생과 동일하게 금장인 것은 물론 굴곡까지 있어서
수납 및 휴대가 불편하기 짝이 없는 기에랑;



그 외에도 국내 브랜드 중에서도 입큰 등이
유사한 형태의 4칸 바둑판 블러쉬를 출시했지.



아, 해외 출장 한번 안 잡히나.
지방시, 입생로랑, 헬레나 루빈스타인 쓸어주게.



p.s.
사실 우여곡절 끝에 지방시 비자쥬 두어 가지는
신혼여행 가는 싱하형 편에 부탁하게 됐다 -_-
그럴 의도는 아니었는데 나 완전 민폐 지인 됐네.
이럴 줄 알았으면 932 출장 갈 때 진작 부탁할 것을;






   COMMENT 9

댓글을 달아 주세요









최근 지름샷에 자주 등장한
나스 신상 블러셔, 섹스어필.

Sex Appeal.

2010 홀리데이 컬렉션 제품이란다.

38,000원 / 4.8g

베스트셀러 색상명이 자그마치 오르가즘!
인 브랜드에서 야심차게 내놓은 신상 블러셔,
그것도 이름이 섹스어필! 이라니 어떨까 싶지만...




사실 이렇게 청순 돋는 컬러.
화이트가 많이 섞인 무펄 쉬어 피치 컬러다.




거울 이 정도로 제껴져 주시고.




이건 약간 어둡게 나왔고.




이건 약간 밝게 나왔고.




맑은 살구색 블러셔! 하면 생각나는
슈에무라 글로우온 M PEACH 44.
하지만 나란히 보면 이렇게 은근 다르다.

둘 다 입자가 매우 곱고 (고로 가루날림 많으며;)
펄이 없이 맑고 붉은기가 돌지 않으면서
 채도 높은 발색이 나는 건 공통이지만 -




(좌) 나스 섹스어필
섹스어필은 화이트가 많이 섞인 피치 핑크 색상.
그리고 투명하다기보다는 보송한 느낌이 강조된다.

(우) 슈에무라 M PEACH 44
섹스어필에 비하면 약간 더 오렌지에 가깝다.
발색도 약간 더 투명하게 피부색을 투영한다.

뭐, 제품 선호도야 각각 취향에 따라 다를 일.
난 어느 한 쪽의 손을 들어주지는 못하겠더라;
둘 다 이쁘다고!!! 하나도 못 버리겠다고!!!
다만 섹스어필은 홍조 있는 내 얼굴에서는
약간 보송한 핑크에 가까운 색을 내는지라
보다 오렌지스러운 피치 발색을 원할 때에는
M PEACH 44 를 집어들고 뭐 그런 식이다.



아래는 가지가지 발색샷들;
방 조명이 하도 누렇거나 퍼렇게 나와서
화장실 가서 찍었더니 얼굴이 하얗게 뜨는구만.
결코 무리한 뽀샵질을 한 게 아님을 밝히며...




화장실 조명에 얼굴이 날아가긴 했지만
섹스어필 발색은 잘 보여서 그대로 올림;

맥 188 브러쉬로 여러번 굴린 후에
잔여물 털어내고 스치듯이 바르곤 한다.
2-3번 덧발라도 붉은 기운 없이 발색되네.
살구색 자체에 흰빛이 약간 섞인 탓인 듯.

웬만한 블러셔는 흰빛이 많이 들어가게 되면
발색이 탁해질텐데 과연 블러쉬 명가, 나스.

다만 그간 너네 블러쉬 색상들이 느므 찐해서
홍조 심하고, 블러셔 연하게 하는 나로서는
당최 발 들일 수가 없었을 뿐이라고, 유남생?




좀 더 클로즈업.
참고로 립스틱은 나스의
 "로만 홀리데이"
그리고 섀도우는 나스의 "도쿄" -_-




옷 갈아입고 다시;
외출 직전, 완성샷.




어이쿠, 얼굴 진짜 다 날아갔네.
아울러 블러쉬 발색도 좀 날아갔지만
어쨌거나 참고용으로 - 다른 날 찍은 사진.

립스틱은
나스 "바바렐라"
섀도우는 역시 동일하게
"도쿄"





또 다른 날 찍은 사진;
리뷰 올리겠다고 매일 나스로 화장했숴 ㅠ






방 조명에서 찍은 샷들.




그리고 이건 최근 슈에무라 립스틱 리뷰용에 등장한
글로우온 M PEACH 44 로 메이크업한 모습.
대체 차이가 뭐냐... 라고 묻는다면...

M44는 색 자체로는 비교적 오렌지에 가깝지만
보다 투명하기 때문에 피부색을 잘 반영한다.
따라서 피부색이 살짝 흰 편이면서 홍조 도는
내 얼굴에서는 저렇게 피치 핑크로 발색됨.

M44에 간혹 실망들을 하는 이유가 바로 이렇다.
슈에무라 화보에서 최강희는 뽀얀 귤색 볼인데
내가 바르면 생각보다 붉은기 돈다... 라는 이유.
어쨌거나 난 그런 피치 핑크 발색이 좋아서 잘 쓰지만.

그런데 나스 섹스어필은 채도 높기는 마찬가지인데
피부색 투영도는 더 낮고 화이트 색감이 감돌아서
제품 색감이 보다 그대로 발색되는 편이다.

어느 쪽이 더 마음에 드는지는 각자의 선택.
(난 결국 둘 다 나름 이뻐하면서 잘 쓰지만 -_-)




초점 좀 엄하게 나왔지만
그리고 배경은 고깃집이지만
어쨌거나 섹스어필 바르고 나간 날,
풀샷.



리뷰를 빨리 올리느라 더 많은 섀도우 및 립스틱들과
다양하게 매치해보지 못한 게 아쉽긴 한데
어쨌거나 어찌 사용해도 다 청순하더라는 결론.

붉은기 없어서 스모키 아이에도 매치 가능하지만
이 색상의 장점을 가장 잘 살리는 방법은 역시
은은하면서도 색상이 살짝 밝은 쉬머 섀도우,
그리고 화사한 립스틱과 같이 사용하는 쪽인 듯.

문득, 네이밍을 왜 Sex Appeal 로 했는지 궁금하다.
Orgasm 보다는 톤다운된 발색이라 이건가...
혹은, 노골적인 발색이나 강한 메이크업보다는
이런 은은하고 수줍은 듯한 블러쉬야말로
진정한 섹스어필이라고 말하고 싶은 걸까.

어쨌거나 M PEACH 44 만이 피치 블러셔의
유일 지존인 줄 알았는데 혜성처럼 등장한
나스의 이 신상 블러쉬 섹스어필양이
올 봄, 보송한 살구색 뺨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꽤나 매력적인 옵션이 될 듯 하구나.

매일매일매일매일매일
맥 188로 가루 폴폴 날려가면서
잘 사용하는 중 :)








   COMMENT 12

댓글을 달아 주세요

[나스] 블러쉬 & 섀도우 모듬 발색샷-

Posted by 배자몽 화장품리뷰 : 2010. 11. 5. 15:49




실제 얼굴 발색까지 찍어 올리려고 했으나
그 욕심 부렸다가는 이 포스팅 영원히 못 올리지;
작년과 올해에 뜨문뜨문 걸쳐서 찍은 나스 잡다 발색샷.




"Angelica"
안젤리카





부인할 수 없는 쿨톤 핑크에 실버펄이 블링블링.




"Orgasm"
오르가즘


이게 그 유명한 나스의 간판 제품, 오르가즘.
발색 검색하려고 이름 치면 성인 인증 뜬다는 오르가즘.
실제로 오르가즘을 느낄 때의 혈색을 형상화했다는 오르가즘.




피치 핑크?
코랄 핑크?
보는 각도나 사람에 따라서 조금씩 다르게 보이는
실로 오묘한 색감의 웜핑크에 골드펄이 자글자글.




Angelica, Orgasm.
Orgasm, Angelica.


서로 인사하렴.




각각 손등 발색.
(좌) 안젤리카
(우) 오르가즘

사실 안젤리카를 살살 바르면 쿨톤 피부에 참 이쁘다는데
난 쿨톤 중에서도 홍조가 제법 있는 편인 데다가
평소에 블러셔를 생략하거나 매우 연하게만 발라서
이 진한 꽃분홍을 당최 어찌 감당할 수가 없더라.
이거슨 나에게는 너무 가혹한 핑크 컬러라며.

오르가즘은 전세계적으로 그토록이나 칭송받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 컬러는 아니더라는 말씀.
골드펄이 내 취향에는 다소 과한 감도 있거니와
코럴 계열 색감이 제법 돌아서 내 얼굴에서는 너무 붉어.

... 난 Deep Throat 이나 사야겠다.




이건 작년 여름에 찍은 932 나스 블러셔 떼샷.
얘가 당시에 나스에 미쳐가지고서는 -_- 막 모으던 시절.
(생각해보면 그녀는 언제나 뭔가에 미쳐서 막 모으고 있다.)




"Deep Throat"
딥쓰롯


... 아마도...
찍은지 거의 1년 반이 다 되어가는 사진이라 나도 가물가물허다.




"Orgasm"
오르가즘


역시 아마도.
비슷한 듯 하지만 딥쓰롯이 붉은기가 덜하고 약간 연하다.
(바로 그렇기에 나는 딥쓰롯 > 오르가즘...)




"Angelica"
안젤리카


역시 쿨톤인 932가 당시에 열광하며 찬미하던 안젤리카.
그래봤자 그 이후로 처분한 걸로 알지만. 훗.




"Desire"
디자이어


... 나 같은 블러쉬 미니멀리스트들은 도저히 쓸 수 없는,
안젤리카 따위는 가뿐히 물리치는 레알 진분홍.




딥쓰롭
오르가즘
안젤리카
디자이어


발색용 팔목 협찬은 932




디자이어
안젤리카
오르가즘
딥쓰롯


자연광에서 찍겠다고 애 팔목을 거꾸로 뒤집었다.
요가하는 마음가짐으로 발색 촬영에 응한 932...

난 암만 봐도 골드광 과한 오르가즘보다는
좀 더 쉬어하고 내추럴한 딥쓰롯 쪽이 마음에 드네?



내가 느끼는 나스 파우더 블러쉬 제품의 특징은 :

- 상급의 발색력.
발색이... 매우... 잘 된다.
그래서 디자이어처럼 진한 색감은 더 부담스럽기도;
블러셔 사용 스킬 고수들에게만 권하고 싶어.

- 쉬어한 연출.
하지만 그 지나친 발색을 커버해주는 것이 바로
나스 블러쉬 특유의 쉬어한 연출.
텁텁하고 답답하기보다는 자연스럽고 맑게 발린다.
심지어 본인에게 잘 어울리는 색을 고르면
쌩얼에 발라도 어우러질 정도라고 하는 증언.

- 고운 입자.
입자는 상당히 고운 편... 인데 대신 가루날림이 있다 ㅋ

- 중상급의 지속력.
화장이 잘 사라지는 지복합성 피부 위에서도
꽤나 오래 지속되는 걸 봐서는 지속력 중상급인 듯.
무대 메이크업을 염두에 두고 만든 제품이라 그런가?




이건 싱글 섀도우들.
역시 932가 찔러대서 쌩뚱맞게 해외 구매대행 공구한 것.

발색 리뷰를 남기겠다고 큰곰한테 대여했다가
다시 돌려받는 날, 고기집에 두고 와서 분실함.

... 이렇게 사진으로만 남아있는 너희들.





"Himalayas"
히말라야






"Night Fairy"
나이트 페어리





"Fathom"
패덤


맑은 핑크 베이지에 실버펄 블링블링하던 컬러.
개인적으로 매우 끌렸으나 그 이후로 바비브라운의
스파클 섀도우 발레 & 미카를 데려오면서 잊어버렸다.





"Party Monster"
파티 몬스터




 
순서대로 발색.

히말라야
나이트 페어리
패덤
파티 몬스터





역시 자연광에서 찍겠답시고 -

파티 몬스터
패덤
나이트 페어리
히말라야




비록 이 아이들은 종로 고기집에서 분실했지만 -_-
그래도 호랑이가 가죽을 남기고, 사람이 이름을 남기듯,
큰고미가 명리뷰를 남겨줬으니 그걸로 위안을 삼으련다.

관련 리뷰 링크 :
http://blog.naver.com/kenisme?Redirect=Log&logNo=80093864407







   COMMENT 4

댓글을 달아 주세요





샤방샤방이라는 단어를 위해 태어난 브랜드, 질스튜어트.
사실 심플 모던 강렬을 지향하는 내 취향에는 그닥 안 맞지만
어찌 하다 보니 믹스 블러쉬 컴팩트는 2개나 보유하게 됐네 ㅋ

관련 포스팅 링크 :
http://jamong.tistory.com/601



이 제품 이후로 질스튜에 딱히 끌릴 일은 없겠다 싶었는데
잠시 나를 흔들리게 했던 - 2009 홀리데이 스위트니스 컬렉션.





이런 패키지의 홀리데이 코프레로 출시가 된다.

- 레이스 잔뜩 달린 케익 모양의 파우치
- 믹스 파우더 101호 마쉬멜로우 퍼피
- 젤리 아이 N103 스노우 파르페
- 젤리 글로스 101 슈가 키스
- 네일 락커 N106 로맨틱 마카롱
- 네일 파일
- 네일 스티커


... 이름들만 봐도 무슨 케익집에 온 것 같아.
달콤하고 귀여운 건 좋은데, 달아도 너무 달구나.



물론 이번 연말에는 뭔가 블링블링하는 걸 지르겠노라고
진작부터 다짐해놓은 바 있지만 (실용주의 따위 갖다버려!)
워낙 너풀거리는 걸 별로 즐기지 않는 데다가
네일 제품들 따위 더더욱 필요 없는지라

그냥 좀 회의적으로 바라보고 있다가 -
잠시, 잠시 급 끌려서 살까 생각도 했었다.


음. 이유는... 이유는 말이야 -
12만원에 이 큰 파우치와 한정 하이라이터,
그리고 그냥 보기만 해도 뿌듯한 이런저런 구성들을
한꺼번에 쉽사리 데려올 기회는 흔치 않을 것 같아서, 정도?
게다가 질스튜 블러셔 써보니까 패키지는 차치하고서
내용물이 꽤 마음에 들었으니, 하이라이터도 좋을 듯 해서?

... 하지만 나머지 제품들이 너무 심하게 공주 핑크인 데다가
결국 질스튜와 나 사이에는 그 어떤 운명적인 느낌이 없었던 것.
그래서 현명하고도 과감하게 구매를 포기했다네.
(사실 디올 홀리데이에 올인해서 그런 거라고는 인정 못해.)

그런데 마침 관악산에서 펄을 주식으로 서식하는 너구리가
이 반짝반짝 블링블링 세트를 홀라당 질렀길래 -
난 그 등에 업혀서 하이라이터 실사나 찍었음.




케이스 생긴 건 믹스 블러쉬 컴팩트와 동일하다.
다만, 블러셔 한정판들이 그러하듯이 특별히 레이스 무늬가 들어가있지.
그리고 블러셔에 달려있는 (매우 유용한) 내장 브러쉬 대신에
(매우 쓸데없는) 리본 장식이 달려있음.




믹스 파우더 101
마쉬멜로우 퍼피


속살은 이렇다.
저 중앙의 반짝펄은 걷히면 사라진다고.




산지 얼마 안 돼서 아직은 반짝반짝하네.
그런데 이거 어디 아까워서 쓰겠어?
저 펄이 걷히고 나면 화사하고 자연스러운 하이라이터란다.

... 음, 예쁘고 귀엽긴 한데 난 역시 패스.
너구리 덕에 실사 구경 편하게 했시유.



난 올 연말에 그저 디올!





   COMMENT 2

댓글을 달아 주세요





이미 벼룩으로 팔아버린 아이지만 -_-
추억하는 의미의 포스팅이랄까요;;;

안녕, 너를 잊지 않을게... 정도? =.=



사용자 삽입 이미지

[메이크업포에버] 스컬프팅 블러쉬... 입니다.
얼굴을 조각해주는 볼터치? ㅋ

가격은 32,000원.



사용자 삽입 이미지

multi-dimensional look 이라.
과연 입체적인 효과를 강조하는군요.

오일프리무향이기도 하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렇게 생겼답니다.
메포스러운 심플 모던함이죠.
좀 지문 인식 기능 탑재되어 있긴 하지만 -
괜찮아 괜찮아;
게다가 안의 컬러가 세련되게 살짝 보이게끔
뚜껑에 투명 플라스틱 스트립을 만든 것도 멋지군요.

개인적으로 메포의 패키지는 유광이라는 점 빼고는 꽤 좋아합니다.
(일관성 있게 심플한 패키지 좋아하기에...)




브랜드 측의 제품 설명입니다.

제가 이 제품을 선택했던 이유는 다음과 같아요 :

- 입자가 매우 곱고 실키하다.
- 실리콘 오일과 미네랄 파우더 성분 덕에 매끈한 느낌으로 발린다.
- 펄 없고 맑은 색감. (펄 있는 색상도 있긴 하지만.)
- 얇아서 휴대하기 좋은 패키지.




색상은 이렇게 나와요.
- 핑크 계열
- 코럴 계열
- 베이지/브라운 계열
이렇게 3가지 계열로 나뉘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가 샀던 것은 6호 핑크 색상이랍니다.
핑크 계열 중에서 중상급 정도의 화사함을 가진 컬러죠.
붉은기는 그다지 없는 맑고 정직한 핑크여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색감이 어째 정확하지는 않은 듯;
요건 사진이 좀 노란기 돌게 나온 것 같군요.
실물이 보다 "핑크"의 느낌이 강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뚜껑은 이렇게 자석으로 닫히게끔 되어 있어요.
(요것도 마음에 드는 요소!)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색감, 여전히 부정확함...
참고만 하세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많이들 사용하는 맥 블러셔와 크기 비교를 해봤어요.
사실 단면 지름으로 따지자면 그리 큰 차이가 없네요.
하지만 체감 사이즈는 매우 다르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바로 요 두께! 때문에 -_-*
맥 블러셔도 심플하고 모던하게 생긴 건 유사할지 모르지만
단품 사이즈가 꽤 두툼하단 말이죠.
그런 의미에서 전 메포의 손을 들어주렵니다.



몇가지만 비교를 해보자면 :

* 케이스 : 메포 > 맥
- 휴대성에서 확 앞질러버린달까 ㅋ
사실 블러셔 내부에 저렇게 빈 공간이 있는 거 낭비라고 생각해요.
그리고 전 화장이 좀처럼 지속되지 않는 타입의 피부라서
휴대 가능한 치크/하이라이터 제품을 크게 선호해요.
(점심 때만 지나면 블러셔 사용한 티도 안 나게 다 날아가니까 -_-)
사실, 이게 이 제품을 선택한 가장 큰 이유였지요 ㅋ

* 색상 선택의 폭 : 맥 > 메포
- 하지만 다양한 색상 면에서 맥을 따라갈 수는 없네요.
되려 많아서 헷갈릴 수도 있긴 하겠지만...
그리고 개인적으로 홋수보다는 '색상명'이 있는 걸 좋아해서
맥의 cute / angel / well-dressed 등등의 네이밍이 마음에 들어요.

* 질감 선택의 폭 : 맥 > 메포
- 단연코 맥! 이죠.
맥 블러셔들은 매트, 쉬어, 펄 등등 다양한 질감이 나오니까
아무래도 한 가지 라인으로 나오는 메포 블러셔보다는 다양해요.
전 어차피 그 중에서도 쉬어한 것만 선호하는 편이긴 하지만; 어쨌든;

* 발림성
- 요건 단순 비교가 어려운 부분이에요, 사실.
맥 제품들의 질감과 펄감이 다 다른 탓도 있지만
두 제품 다 우수한 탓도 있지요.
지극히 개인적인 취향으로는 메포 스컬프팅 블러셔의
실키한 발림성을 좋아하기에 살짝 메포 편을 들어주고 싶네요 ㅋ

* 발색력
- 요것도 사실 질감/색상별로 조금씩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아무래도 두 브랜드가 대체적으로 비슷비슷한 것 같아요...
발림성이나 색감 계열이 달라서 느낌이 약간 다를 뿐,
둘 다 색감으로 승부하는 색조 브랜드잖아요? ^^
둘 다 발색력은 우수합니다 그려 ㅋㅋ



여러 모로 맥 블러셔도 좋긴 하지만
전 아직 메포 스컬프팅 블러셔 쪽에 더 애정이 갑니다.



그런데 왜 팔았냐... 구요? ㅡㅂㅡ



6호 핑크 색상이 꽤 발색이 잘 되는데
고런 선명한 핑크 블러셔는 자주 쓰게 되질 않아서...
(워낙 치크를 안 하거나, 연하게 하는 편인 데다가
얼굴에 붉은 기운이 많아서... 하하하 -_-)
가끔 펄 없이 맑은 핑크 치크를 강조하고 싶을 때에는
[스틸라] 투투 하나만으로 모든 게 다 커버가 되더라구요 -_-;;;

메포 스컬프팅 블러셔를 재구매한다면
그때는 꼭 4호 살구색으로 구매하리라 다짐하며...
6호는 화장대 대정리 기간에 그만 입양보내버렸지요.


참, 최근에 26호, 펄 들어간 진한 살구색을 선물받았는데
생각해보니 그건 아직 써보질 못했군요.
언능 꺼내서 개시해야지 -_-)/





   COMMENT 6

댓글을 달아 주세요

[랑콤] 마지 블러쉬 08호 로즈 제피어

Posted by 배자몽 지름의증거 : 2008. 4. 7. 13:47






작년 봄, 각 브랜드 신상 제품들을 소개하는 기사를 무심코 보다가
랑콤의 마지 블러쉬를 보게 되었다.
'푸딩 제형의 블러셔' 라고 해서 독특한 질감을 강조했지만 -
사실 난 크림 or 무스 타입의 블러셔에 딱히 관심이 없었지.

그런데 제품 접사를 보고서 마음이 변했다.
특히 연펄핑크인 8호를 보고서는 느낌이 강하게 와서
매장에 가면 꼭 테스트해보리라, 고 다짐을 하게 되었지.

그리고 매장에서 테스트를 해보는 순간에 당장,
선희언니한테 전화를 걸어서 외쳤다.
(그때 홍콩 여행을 갈 예정이었음 -_-*)

"언니, 나 랑콤 마지블러쉬 8호 구해다줘요~!!!"

...


그만큼 홀딱 반했더랬지요 ㅡㅅㅡ




사용자 삽입 이미지


랑콤의 장미 문양을 빼면 사실 꽤나 심플한 케이스...




사용자 삽입 이미지


08호 Rose Zephyr...
직역하자면, '핑크빛 산들바람 or 서풍' 뭐, 그 정도가 되겠네.
09호는 이보다 더 진한 핑크였는데 난 단연코 이 08호에 반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사진만큼 내가 아쉬운 사진이 또 있을까;;;
질감을 잡아내기가 너무 힘들어서 이런 비루한 샷으로 대체했지.

곱고 달콤한 설탕이 샤르르- 녹아 있는 듯한 펄감에다가
연하고 청순하고도 맑은 핑크빛!
안면 홍조와 모공 확장과 온갖 문제들을 다 안고 있는
내 피부에서조차 예쁘게 발색된다-♡

손가락에 살살 묻혀서 톡톡 찍어서 두드려주면 된답니다.




이 아이가 아직까지 나의 베스트 블러셔 중 하나인 이유.
바닥까지 다 써줄테다~  o(>.<)o








 
   COMMENT 2

댓글을 달아 주세요

 «이전 1  다음»